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404

[유한요소법] 5. 강성법 감잡기 (2) 선형 스프링 1개 스프링을 이용해서 강성행렬에 대한 감을 잡아봅시다. 아래와 같은 스프링이 있다고 합시다. 이 스프링을 T의 힘으로 양쪽으로 잡아당기겠습니다. 이때 늘어난 길이를 $\delta$라고 놓는다면 아래 등식이 성립합니다. $$T=k\delta$$ node 관점 이번에는 위 상황을 node 관점으로 생각해봅시다. 왼쪽 끝 점을 node1, 오른쪽 끝 점을 node 2라고 놓겠습니다. 각 node에 가해지는 힘을 $f_{1}$, $f_{2}$ 라고 놓겠습니다. 각 node에서 발생하는 변위는 $u_{1}$, $u_{2}$ 라고 놓겠습니다. 이때 오른쪽 방향을 (+)라고 놓겠습니다. 이때 늘어난 길이와 node 변위에 대해 아래 관계식이 성립합니다. $\delta=u_{2}-u_{1}$ 스프링에 가해진 힘과, nod.. 2021. 6. 4.
[유한요소법] 5. 강성법 (1) 강성행렬 강성행렬은 노드에서의 변위와 힘을 연결해주는 행렬입니다. 개별 요소 노드의 변위와 힘을 연결하는 행렬은 소문자 k로 나타냅니다. $\left [ k \right ]=\begin{bmatrix} k_{11} & k_{12} & \cdots & k_{1n} \\ k_{21} & k_{22} & \cdots & k_{2n} \\ \vdots & \vdots & \vdots & \vdots \\ k_{n1} & k_{n2} & \vdots & k_{nn} \\ \end{bmatrix}$ 강성행렬을 이용하여 힘과 변위를 연결한 수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left \{ f \right \}=[k] \left \{ d \right \}$ 간단한 형태를 이용하여 이해해봅시다. 2차원 상에 두개의 노드를 가진 엘리먼트.. 2021. 6. 3.
[유한요소법] 4. 힘, 변위,강성의 행렬표현 (열행렬, 정방행렬) 열행렬 기호 유한요소법에서는 물체를 작은 조각으로 나누고, 각 조각의 꼭지점을 node라고 부릅니다. 우리는 전체 힘을 각 노드에서 작용하는 힘으로 나누고, 각 노드의 변위를 계산할 것입니다. 각 노드에 작용하는 힘은 아래와 같이 표현됩니다. $\left \{ F \right \}= \begin{bmatrix} F_{1x}\\ F_{1y}\\ F_{1z}\\ F_{2x}\\ F_{2y}\\ F_{2z}\\ \vdots \\ F_{nx}\\ F_{ny}\\ F_{nz} \end{bmatrix}$ 예를들어 $F_{1x}$ 는 노드 1에 작용하는 x방향 힘입니다. 각 노드의 변위는 아래와 같이 나타냅니다 . $\left \{ d \right \}= \begin{bmatrix} u_{1}\\ v_{1}\\ w_.. 2021. 6. 3.
[유한요소법] 3. 요소강성행렬을 정의하는 세가지 방법 지난시간에 살펴본 구조해석의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ㅁㄴㅇㄹ 요소강성행렬을 정의하는데는 아래 세가지 방법이 사용됩니다. 1) 직접법 (direct method) : 평형방정식을 직접 세움 2) 변분법 (variational method) : 가상일 원리와 부분 에너지멈을 이용한 방법 3) 가중잔차법 (weighted residual method) 각각의 방법을 간단히만 알아봅시다. 직접법 - 가장 직관적인 방법으로 유한요소의 기초를 이해하는데 좋음 - 적용에 한계를 가짐. 스프링, 단축 바, 트러스, 빔 등의 1차원 구조에만 적용할 수 있음. - 힘을 미지수로 두느냐, 변위를 미지수로 두느냐에 따라 두가지 방법으로 나뉨. (하중법 vs 변위법) - 하중법 : 하중이 미지수이고, 평형방정식의 계수는 fl.. 2021. 6. 3.
[유한요소법] 2. 구조해석 절차 구조해석의 일반적인 절차를 알아봅시다. 책 로건의 유한요소법 첫걸음을 참고하였습니다. 구조해석은 힘을 받은 구조물 내의 응력과 변형률을 구하는 것입니다. 1단계. 요소(element) 선정 - 요소의 종류 설정 (차원, 선형/비선형 등) 2단계. 변위함수 선정 - 변위함수 선정 (선형, 2차, 3차 다항식, 삼각함수 급수 형태 등) - 1차원 스프링, 봉요소에서는 생략 가능 3단계. 변형률-변위, 응력-변형률 관계 정의 - 1차원 변형률-변위 관계 예시는 아래와 같음. $\varepsilon_{x}=\frac{du}{dx}$ - 응력-변형률 관계 예시는 아래와 같음 $\sigma_{x}=E\varepsilon_{x}$ 4단계. 요소 강성행렬 방정식 유도 - 아래 세 방법 중 선택 1) 직접 평형법 : 1.. 2021. 6. 3.
abaqus 요소별 부피 출력 방법 Step1 해석을 돌릴 때 filed output 에서 output variable로 부피를 선택해주어야 합니다. 실제 사용할 결과는 EVOL 입니다. 인풋을 쓴다면 아래와 같이 추가합니다. Step2 해석을 돌린 후 visualization 화면이라고 합시다. Report 탭에서 아래와 같이 선택합니다. Step3 출력합니다. 2021. 6. 3.
[유한요소법] 1. 유한요소법이 뭔가요? 유한요소법이 뭔가요? 유한요소법은 공학이나 물리학의 문제들의 '수치적인 해'를 구하는 방법입니다. 대표적인 분야는 아래와 같습니다. - 구조해석 - 열전달 - 유동해석 - 질량이송(mass transport) - 전자기 포텐셜 수치적인 해(numerical solution)라는게 뭔가요? 수치적인 해라는 것은 '해석적인 해(analytical solution)'의 반대말입니다. 해석적인 해를 먼저 설명하겠습니다. 해석적인 해는 물체의 모든 위치에서 우리가 궁금한 값을 수식으로 도출하는 것을 말합니다. 공학적인 문제들은 보통 상미분이나 편미분방정식으로 표현되는데, 이 방정식의 해를 말합니다. 하지만 구조물의 형상, 하중, 물성이 복잡해질 경우 위와 같은 해석적인 해를 구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여러 방법을.. 2021. 6. 3.
abaqus 요소별 변형률 에너지 밀도(strain energy density) 계산 방법 1. 스트레인 에너지 밀도 계산 수식 스트레인 에너지 밀도는 아래와 같이 계산됩니다. 각각은 주 응력(principal stress), 주 변형률(principal strain)입니다. $u=\frac{1}{2}( \varepsilon _{1}\sigma_{1} +\varepsilon _{2}\sigma_{2} +\varepsilon _{3}\sigma_{3})$ 훅의 법칙을 이용하면 변형도 가능합니다. 먼저 훅의 법칙은 아래와 같습니다. $\varepsilon_{1}=\frac{[\sigma_{1}-\nu(\sigma_{2}+\sigma_{3})]}{E}$ $\varepsilon_{2}=\frac{[\sigma_{2}-\nu(\sigma_{1}+\sigma_{3})]}{E}$ $\varepsilon_{.. 2021. 6. 2.
[UG NX 도면] 도면 NOTE에 < > 기호 입력방법 도면 NOTE에 를 그냥 입력하면 오류가 납니다.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됩니다. $ 2021. 6. 2.
abaqus 단위변환 방법 (Pa인가, MPa인가 아바쿠스는 길이에서 1을 무엇으로 해석하느냐에 따라서 나머지 단위들이 달라집니다. 예를들어 1을 1mm로 해석한다면 응력은 MPa이 됩니다. 아래 표를 따르면 됩니다. 2021. 6. 2.
abaqus field output 과 history output의 차이 field output : 공간에 따른 데이터. f(x,y,z)=result 형태. history output : 시간에 따른 데이터 f(t)=reuslt 형태. history output 은 특정 point 에서의 결과이다. 2021. 6. 2.
abaqus 요소별로 응력,변형률 출력하기 (text,excel) Step1. 출력하기 원하는 element 만 보이게 한다. Step2. Report 탭의 Field Output을 실행한다. Step3. 출력하기 원하는 결과를 선택한다. Position 도 선택해준다. node마다 출력할 수도 있고, element 중심의 값만 출력할 수도 있다. Step4. Setup 탭 설정 이름을 설정한다. Append to file은 체크 해제한다. (체크할 경우 이전 파일에 누적되서 결과가 출력됨) 2021. 6. 2.
[애니바디 공부] 세그먼트 공부(바디,좌표계,점) 세그먼트를 하나 정의했다. 위치는 x축으로 3만큼 간 위치다. 글로벌 좌표계는 미리 정의해놓았다. 먼저 세그먼트의 바디를 보이게 해보자. help에 가면 키워드를 찾을 수 있다. 아래와 같이 추가한다. 이번에는 로컬좌표계를 보이게 해보자. 이번에는 세그먼트 안에 점을 하나 정의하고 보이게하자. 점의 로컬좌표계도 보이게 해보자. 2021. 4. 16.
[애니바디 공부] Node를 공중에 정의할 수 있을까 노드를 독립적으로 정의했는데 에러가 뜬다. AnyFixedRefFrame 이나, Seg 안에 정의해야 하나보다. 2021. 4. 16.
애니바디 클래스 입력값 확인 방법 AnyFixedRefFrame 을 예로 들자. class 를 삽입하면 아래와 같다. AnyFixedRefFrame GlobalRef = { //Origin = {0.0, 0.0, 0.0}; //Axes = {{1.0, 0.0, 0.0}, {0.0, 1.0, 0.0}, {0.0, 0.0, 1.0}}; }; 반드시 입력해야되는 값은 없다. 원한다면 Origin, Axes를 설정할 수 있다. Help로 가자. Optional-Initialization Member 는 우리가 설정할 수 있는값들이다. 두번째 class를 보면, AnySwitchVar 이라고 되어 있고, Name 은 viewRefFrame.Visible 이다. 아래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AnyFixedRefFrame GlobalRef = { .. 2021. 4. 16.
애니바디 class 설명 보는 법 클래스에 우클릭하고 Help 누르면 도움말이 뜬다. 아래 창이 뜬다. 2021. 4. 16.
에니바디 세그먼트, 노드, STL바디 개념 에니바디에서는 세그먼트가 하나의 뼈 역할을 합니다. 해석을 포함한 전체 모델링의 큰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세그먼트 정의 -> 조인트로 연결 -> 드라이버 정의(운동학) -> 운동학 해석 -> 근육 정의 및 부착 -> 역동역학 해석 세그먼트를 정의 할 때, 세그먼트 안에 노드들을 정의합니다. 노드들은 조인트연결이나 근육 연결에 사용됩니다. 세그먼트 정의 부터 살펴봅시다. AnySeg = { //r0 = {0.0, 0.0, 0.0}; //rDot0 = {0.0, 0.0, 0.0}; //Axes0 = {{1.0, 0.0, 0.0}, {0.0, 1.0, 0.0}, {0.0, 0.0, 1.0}}; //omega0 = {0.0, 0.0, 0.0}; Mass = 0.0; Jii = {0.0, 0.0, 0.0}; .. 2021. 4. 15.
[에니바디] 글로벌 좌표계 표시하는 법 GlobalRef 폴더 안에 아래 코드 추가함. ScaleXYZ는 각 축의 크기, RGB는 좌표계 색상임. 아래는 위 코드 실행결과 2021. 4. 9.
에니바디 템플릿모델 자동생성 폴더 상태 에니바디에서 템플릿으로 불러올 수 있는 모델은 크게 세가지다. 1. Basic Main 템플릿 Basic Main 템플릿으로 생성한 모델의 폴더상태는 아래와 같다. 아래는 에니바디에서 불러온 모습이다. 에니바디 저장소모델을 사용하지 않고, 모델을 처음부터 정의해주어야 한다. 2. HUMAN 템플릿 HUMAN템플릿으로 생성한 모델의 폴더 상태는 아래와 같다. Model 폴더를 열면 아래와 같다. 코드를 보면 에니바디 저장소모델을 불러와서 사용하고 있다. 저장소 모델을 기반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JointsAndDrivers 를 열어보면 아래와 같다. 설정된게 없다. 3. Human Standing 템플릿 Human Standing 템플릿으로 생성한 모델의 폴더 상태는 아래와 같다. Human .. 2021. 4. 9.
솔리드웍스 수직,수평 등 구속조건 자동 설정 [옵션]-[스케치]-[구속조건/스냅]-[스냅 사용] 2021. 4. 2.
솔리드웍스 도면에 숨긴 치수 다시 표시하기 [보기] - [숨기기/보이기] - [주석] 2021. 1. 7.
[UG NX 도면] 표 행높이, 열너비 등 조절하는 법 1. 우클릭 후 행 또는 열 선택 2. 우클릭 후 resize 3. 원하는 값 입력 2021. 1. 4.
[NX 도면] 1각법, 3각법 기호 입력 방법 (테이블 안에 입력) 1. text 버튼 클릭합니다. 2.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category 를 User Defined 로 선택하고, Symbol Library 를 Utility Directory 로 선택합니다. 라이브러리에서 3RDANG 을 선택하고, Scale 에 원하는 값을 입력하여 크기를 조절합니다. Insert Symbol 을 클릭합니다. 3. Define 을 클릭합니다. 4. 아래와 같이 설정합니다. Input 을 Region 으로 선택하고, 우측 심볼 둘레를 드레그합니다. 5. 테이블을 하나 만들고 입력을 원하는 셀에 우클릭하여 text edit 으로 들어갑니다. 아래와 같이 설정합니다. 기호가 입력됩니다. 6. 셀에 다시 우클릭하여 setting으로 들어갑니다. 아래와 같이 설정합니다. 2020. 12. 24.
[NX 도면] 1각법, 3각법 기호 입력 방법 (크기 변경) 1. text 버튼 클릭합니다. 2.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category 를 User Defined 로 선택하고, Symbol Library 를 Utility Directory 로 선택합니다. 라이브러리에서 3RDANG 을 선택하고, Scale 에 원하는 값을 입력하여 크기를 조절합니다. Insert Symbol 을 클릭합니다. 2020. 12. 24.
[UG NX 도면] 1각법, 3각법 기호 입력 방법 1. text 버튼 클릭합니다. 2.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2020. 12. 24.
[NX 도면] 도면 치수에 문자 입력하는 방법 예를들면 아래와 같은 치수를 문자로 바꾸고 싶은 경우입니다. 여러 사이즈를 하나의 도면에 입력할 경우 사용합니다. 치수를 A 등의 문자로 입력하고, 여러 사이즈에 해당되는 A값을 표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아래 그림의 경로로 들어갑니다. text edit 을 실행합니다. 문자로 바꾸고 싶은 치수를 클릭하고, text input 에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면됩니다. 2020. 12. 22.
[UG NX 도면] text 회전하는 방법 text 에 우클릭 후 Settings. 2020. 12. 22.
[UG NX 도면] 도면 테이블 행/열 추가하는 법 [UG NX 도면] 도면 테이블 행/열 추가하는 법 1) 도면에 행이나 열을 추가할 때는, 우클릭 후 select 로 행 또는 열을 선택해야 추가가 가능합니다. 2) 행 또는 열이 선택된 후 우클릭을 다시 누르면, insert 버튼이 생깁니다. 2020. 11. 20.
[SOLIDWORKS, 솔리드웍스] 스넵 켜고 끄기 [SOLIDWORKS, 솔리드웍스] 스넵 켜고 끄기 스넵은 스케치를 할 때, 자동으로 어딘가에 고정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가까운 점이나 선에 고정이 되는 것이다. 편리한 기능이나, 역설계 등을 할 때는 비활성화 시키고 싶을 때가 있다. 비활성화 방법 [옵션]-[구속조건/스냅]-[스냅사용 해제] 2020. 10. 30.
[하이퍼매쉬 자동화] list 에서 원소 교체, 삭제 방법 [하이퍼매쉬 자동화] list 에서 원소 교체, 삭제 방법 리스트를 하나 만들어봅시다. set L1 {1 2 3 4 5}->1 2 3 4 5 첫번째 원소를 없애보겠습니다. 첫번째 부터 첫번째 원소를 선택하고, 아무것으로도 대체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즉 첫번째 원소를 없애겠다는 뜻입니다. 0번째원소가 첫번째 원소입니다. set L1 [lreplace $L1 0 0]->2 3 4 5 이번에는 두번째와 세번째 원소를 "a"와 "b"로 대체해봅시다. set L1 [lreplace $L1 1 2 "a" "b"]->2 a b 5 2020. 9.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