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계공학 기타과목/유한요소해석 강의

[유한요소법] 5. 강성법 (1) 강성행렬

by bigpicture 2021. 6. 3.
반응형

강성행렬은 노드에서의 변위와 힘을 연결해주는 행렬입니다. 개별 요소 노드의 변위와 힘을 연결하는 행렬은 소문자 k로 나타냅니다.

 

[k]=[k11k12k1nk21k22k2nkn1kn2knn]

 

강성행렬을 이용하여 힘과 변위를 연결한 수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f}=[k]{d}

 

간단한 형태를 이용하여 이해해봅시다. 2차원 상에 두개의 노드를 가진 엘리먼트가 있습니다. 각 노드는 두개의 변위와 세개의 회전을 갖는다고 합시다. 총 3자유도를 갖는 것입니다. 이때 수식은 아래와 같이 표현됩니다. 

 

[fx1fy1m1fx2fx2m2]=[k11k12k13k14k15k16k21k22k23k24k25k26k31k32k33k34k35k36k41k42k43k44k45k46k51k52k53k54k55k56k61k62k63k64k65k66][u1v1θ1u2v2θ2]

 

위와 같이 표현하면 1차 연립방정식을 이용하여 모든 종류의 힘을 모든 종류의 변위와 연결시킬 수 있습니다. 한가지 의문이 듭니다. 1차식은 가장 간단한 형태의 관계식인데, 이렇게만 관계식을 세워도 괜찮냐는 의문입니다. 힘과 변위가 항상 1차 선형합으로 표현되는건 아닐텐데 말입니다. 

 

이러한 의문을 차차 해결해가도록 합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