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강성행렬은 노드에서의 변위와 힘을 연결해주는 행렬입니다. 개별 요소 노드의 변위와 힘을 연결하는 행렬은 소문자 k로 나타냅니다.
강성행렬을 이용하여 힘과 변위를 연결한 수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간단한 형태를 이용하여 이해해봅시다. 2차원 상에 두개의 노드를 가진 엘리먼트가 있습니다. 각 노드는 두개의 변위와 세개의 회전을 갖는다고 합시다. 총 3자유도를 갖는 것입니다. 이때 수식은 아래와 같이 표현됩니다.
위와 같이 표현하면 1차 연립방정식을 이용하여 모든 종류의 힘을 모든 종류의 변위와 연결시킬 수 있습니다. 한가지 의문이 듭니다. 1차식은 가장 간단한 형태의 관계식인데, 이렇게만 관계식을 세워도 괜찮냐는 의문입니다. 힘과 변위가 항상 1차 선형합으로 표현되는건 아닐텐데 말입니다.
이러한 의문을 차차 해결해가도록 합시다.
반응형
'기계공학 기타과목 > 유한요소해석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한요소법] 6. 강성행렬 감잡기 (2) 선형 스프링 2개 직렬 (2) | 2021.06.04 |
---|---|
[유한요소법] 5. 강성법 감잡기 (2) 선형 스프링 1개 (0) | 2021.06.04 |
[유한요소법] 4. 힘, 변위,강성의 행렬표현 (열행렬, 정방행렬) (0) | 2021.06.03 |
[유한요소법] 3. 요소강성행렬을 정의하는 세가지 방법 (0) | 2021.06.03 |
[유한요소법] 2. 구조해석 절차 (0) | 2021.06.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