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407

[UG NX 도면] 투영한 도면의 외곽선만 남기는 방법 [UG NX 도면] 투영한 도면의 외곽선만 남기는 방법 도면에 있는 view위에서 우클릭을 하고 setting으로 들어갑니다. Common -> Smooth Edges 에서 Show Smooth Edges를 선택 해제합니다. 2019. 6. 26.
[UG NX 도면] 도면에 모델링에서 사용한 스케치 넣는 방법 도면에 모델링에서 사용한 스케치 넣는 방법 스윕을 이용해서 body 하나를 만들었습니다. 일단 도면을 대충 그려봅시다. 뭐가 많습니다. 테두리도 있고, 좌표계도 있고, 가이드 스케치도 다 보입니다. 스케치와 좌표계는 모델링에서 '숨기기'하면 되구요. 테두리는 아래와 같이 없앱니다. 뭘 하고 싶냐면. 아래 동그라미친 VIEW에만 가이드 스케치를 추가하고 싶습니다. 스케치를 SHOW 하면, 모든 VIEW에 추가되서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모델링 모드로 갑니다. 가이드스케치를 OFFSET해서 CURVE를 하나 만듭니다. 만들어진 CURVE는 숨깁니다. CURVE가 보여질 VIEW에 우클릭을 하고, ACTIVE SKETCH VIEW를 클릭합니다. Sketch 기능에서 projection curve를 클릭.. 2019. 5. 1.
[UG NX 도면] 도면에 정수도 소수점 자리 맞추기, 콤마 점으로 만들기 [Menu]-[Preferences]-[Drafting] 에 들어갑니다. Decimal Delimiter 를 period 로 변경. Show Trailing Zeros 선택(.0이어도 출력됩니다.) 2019. 5. 1.
[UG NX 도면] NX하위버전에서 상위버전으로 변환 시, 스케치 등이 두꺼워지는 문제 [UG NX 도면] NX하위버전에서 상위버전으로 변환 시, 스케치 등이 두꺼워지는 문제 Reset to Defaults 클릭하고 OK 누릅니다. 2019. 4. 28.
[UG NX 도면] 도면 템플릿 저장하는 방법 [UG NX 도면] 도면 템플릿 저장하는 방법 NX에서 도면 템플릿을 저장하는 방법입니다. 1. blank 모델을 하나 생성합니다. 이름은 my_template_A4 라고 하겠습니다. 2. Drafting 모드로 바꿔주시고, sheet를 하나 만들어줍니다. A4를 만들 것이기므로 아래와 같이 설정해줍니다. 3. Border and zones를 선택하고 테두리를 설정해줍니다. 저는 margin을 전부 0으로 설정하였습니다. 4. 아래와 같이 표를 그려줍니다. 5. 표에 원하는 서식을 입력해 줍니다. 6. 아래 경로로 들어가서 ugs_drawing_templates.pax를 찾아서 notepad로 열어줍니다. 7. 맨 아래로 가서 entry 추가 코드를 복사하고 붙여넣습니다. id를 하나 늘려줍니다. 이름을.. 2019. 4. 27.
[Matlab으로 STL파일 다루기] 5. Remesh (refine mesh) , 화면분할 그래프 STL 매쉬가 지저분해서 remesh를 해주었습니다. 매트랩에는 적당한 함수가 없어서(못찾았을 수도), 다른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remesh를 했습니다. remesh 전과 후 STL을 첨부하겠습니다. remesh 전과 후의 stl을 모두 불러오고 그래프로 비교하는 코드입니다. subplot이라는 함수를 이용했는데요. 아래와 같은 원리로 사용합니다. subplot(세로방향 화면분할 수, 가로방향화면분할 수, 몇번째인지) 아래는 전체 코드와 실행 결과입니다. fv1=stlread('hammer.stl'); fv2=stlread('hammer_remesh.stl'); subplot(1,2,1);patch('Faces',fv1.faces,... 'Vertices',fv1.vertices,... 'FaceColo.. 2018. 11. 21.
[Matlab으로 STL파일 다루기] 4. View 변경 3. STL 보는 법 STL을 그림으로 출력할 때, VIEW 각도를 변경해봅시다. 지난시간에 출력한 그림은 아래와 같습니다. VIEW 각도를 바꾸려면 아래 코드를 추가해주면 됩니다. view(azimuth, elevation) 우리말로 바꾸면 아래와 같습니다. view(방위각, 높이) 둘 다 45도로 설정해주겠습니다. view(45,45) 설정 결과 그림입니다. 2018. 11. 17.
[Matlab으로 STL파일 다루기] 3. STL 보는 법 3. STL 보는 법 STL을 불러왔으면 어떻게 생겼는지 눈으로 확인해야 겠죠? patch 함수를 사용합니다. 이번시간부터는 편집기를 사용합시다. 1) 새로만들기를 누르고 m파일을 하나 생성해줍니다. 2) stl파일을 불러옵니다. 편집기에 코드를 입력하고 '실행' 또는 F5를 눌러주면 됩니다. 3) patch 함수를 사용합니다. 색 입력 외에도 더 많은 기능이 있지만 오늘은 색 지정까지만 사용하겠습니다. 출력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2018. 11. 17.
[Matlab으로 STL파일 다루기] 2. STL 불러오기 2. STL 불러오기 1) MathWorks 홈페이지에서 STL Files Reader를 다운받습니다. 2) 다운받으면 STLRead라는 폴더가 받아지는데, MyFunction이라는 폴더를 만들어서 안에 넣어줍니다. 앞으로 사용할 함수들은 MyFunction 폴더에 넣어주겠습니다. 3) 매트랩을 열고 MyStl 폴더와 MyFunction 폴더를 경로에 추가해줍니다. 4) 아래와 같은 코드를 입력합니다. Structure가 불러와집니다. 내부를 열어보겠습니다. faces에는 stl 의 각 면을 구성하는 점의 번호가 저장되어 있습니다.vertices에는 stl 점들의 좌표가 저장되어 있습니다. STL에는 하나의 정보가 더 있습니다. 각 face의 법선벡터인 normal 정보인데요. 이 정보도 함께불러오는 방.. 2018. 11. 15.
[Matlab으로 STL파일 다루기] 1. STL 생성하기 1. STL 생성하기 STL 예제로 사용하기 위해서 망치를 하나 모델링했습니다. 일반적으로 3D 설계툴(UG, 솔리드웍스 등)에서 stl을 export하면 지저분하게 패치(patch)가 생성됩니다. ㅁㅁMyStl 이라는 폴더를 만들고 hammer.stl 이라는 이름으로 저장합니다. 2018. 11. 13.
무료 유한요소해석 소프트웨어 무료 유한요소해석 소프트웨어입니다. 아래 출처에서 무료 소프트웨어만 추렸습니다 .(출처 :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finite_element_software_packages) 괄호 안의 숫자는 구글에서 검색결과 수 입니다. 무관한 결과를 제거하기 위해 아래 검색식을 사용하였습니다. "프로그램 이름" "finite element" DUNE (381000)Elmer (369000)OpenSees (37300)FreeFem++ (24600)Code_Aster (17300)CalculiX (14200)deal.II (13900)MFEM (9090)FEniCS Project (8160)Z88 (4080)FEBio (6920)OOFEM (3780)GetFEM++ (308.. 2018. 10. 11.
만능 재료시험기 고르는 방법(Material Test Machine) 만능 재료시험기 고르는 방법(Material Test Machine) 1. 하중 용량1ton, 3ton, 10ton 등 다양한 force capacity의 시험기가 있습니다. force capacity가 무조건 크다고 좋은 것은 아닙니다. force capacity가 클 수록 resolution이 낮아지기 때문에 시험의 오차가 커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험하려는 재료에 맞는 force capacity를 선택해야 합니다. 재료시편이 끊어지는 하중보다 약간 큰 force capacity의 시험기를 사는 것이 좋습니다. 2. STATIC vs DYNAMIC인장·압축시험만 하는 경우 정적(STATIC)시험기를 사용하면 됩니다. 피로시험을 해야할 경우 동적(DYNAMIC)시험기가 필요한데요. 동적시험기는 정적시.. 2018. 10. 11.
마모의 종류 마모의 종류 1. 응착마모(adhesive wear) 2. 절삭마모(abrasive wear) 3. 무식마모(corrosive wear) 4. 표면피로마모(surface fatigue wear) 5. 미동마모(fretting) 6. 침식마모(erosive wear) 2018. 10. 11.
[동역학] 동역학은 무엇을 배우는 학문인가? 동역학은 크게 두가지 내용을 다룹니다. 운동학과 운동역학입니다. - 운동학(kinematics) - 운동역학(kinetics) 운동학은 물체의 운동만을 다루는 것입니다. 물체가 움직일 때 변위, 속도, 가속도를 이용하여 운동을 표현하는 것입니다. 운동역학은 운동과 힘의 관계를 분석합니다. 운동과 힘의 관계를 표현하는 대표적인 수식은 뉴튼의 2법칙입니다. 힘과 가속도의 관계인 F=ma 이죠. 또 일과 에너지원리, 운동량 충격량 원리가 있습니다. 운동하는 물체로는 입자와 강체를 다룹니다. 입자는 부피가 없어서 회전운동을 하지 않기 때문에 다루기가 쉽습니다. 강체는 부피가 있기 때문에 회전운동을 합니다. 또 물체를 어느 차원에서 다루느냐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2차원 평면에서의 운동과 3차원 공간에서의 운동이.. 2018. 10. 11.
[재료역학] 재료역학은 무엇을 배우는 학문인가 "물체는 힘을 받으면 변형된다." 당연한 말이지만, 물체가 어떤힘을 어떻게 받는지 정확하게 알아야 하는 상황이 있습니다. 구조물을 설계하거나 제품을 설계할 경우가 그렇습니다. 간단한 예로 선반을 설계하는 상황을 생각해봅시다. 선반은 여섯개의 지지나사위에 올려져 있습니다. 선반이 얼마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을지, 또 얼마나 지탱할 수 있을지를 사전에 알아야합니다.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가장 쉬운 방법은 직접 무게를 올려가면서 실험해보면 됩니다. 너무 낮은 무게에서 부서지면 나사를 더 강하게 만들면 됩니다. 그런데 우리에게는 시간의 문제와 돈의 문제가 있습니다. 우리가 맞닥드릴 상황은 주로 이런 상황입니다. "올해 만들 선반의 목표입니다. 나사 재료비와 가공비를 최소로 하고, 무게는 20kg을 견딜 수 .. 2018. 10. 11.
기계공학과 4대역학 학문의 갈래 기계공학과의 핵심과목은 4대역학(재료역학, 동역학, 열역학, 유체역학)입니다. 오늘은 '대상물체가 무엇이냐'는 관점으로 4대역학을 분류해보겠습니다. 1. 연속체 가정기계공학과에서 다루는 물체들은 '연속체'라는 가정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우리 주변에 있는 모든 물체를 확대하고 또 확대하면 원자와 빈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물체를 '미시적'으로 보면 빈공간이 있고 불균일(어느 부분을 택하느냐에 따라 성질이 달라짐)한 상태입니다. 따라서 물체를 해석하려면 원자모델로 접근해야하는데, 너무 어렵고 복잡합니다. 우리의 선배들은 쉽고 효율적으로 물체를 해석하기 위한 방법을 찾아냈습니다. 몇가지 가정을 하고 연속체라는 개념을 탄생시킨 것인데요. 물체 내부에 빈공간이 없다는 가정과 균일하다는 가정입니다. '연속체'는.. 2018. 10. 11.
기계공학과에서 배우는 과목들 정리 1. 전공진입 전 공학수학(미적분학)공학물리공학화학기계공학수학(공업수학)공학수치해석확률과통계 기계공학과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공대에서 1학년때 배우는 공과대학 공통과목입니다. 공학 물리,화학,생물은 고등학교 내용이랑 겹치는 부분이 많습니다. 중요한건 수학과목인데요. 전공과목들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수학적인 도구들을 배웁니다. 대학원가실 분들은 공학수학,선형대수,공업수학은 앞으로도 계속 쓸 과목이니 마스터한다는 생각으로 공부하시면 좋습니다. 2. 전공 주요과목 - 재료역학테크 : 정역학, 재료역학, 정역학, 재료거동학, 기계요소설계- 동역학테크 : 동역학, 메커니즘설계(기구학), 기계진동, 기계시스템제어- 열역학테크: 열역학, 열전달, 에너지동력공학- 유체역학테크 : 유체역학 + 설계 및 생산공학 기계공.. 2018. 10.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