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구조해석의 일반적인 절차를 알아봅시다. 책 로건의 유한요소법 첫걸음을 참고하였습니다. 구조해석은 힘을 받은 구조물 내의 응력과 변형률을 구하는 것입니다.
1단계. 요소(element) 선정
- 요소의 종류 설정 (차원, 선형/비선형 등)
2단계. 변위함수 선정
- 변위함수 선정 (선형, 2차, 3차 다항식, 삼각함수 급수 형태 등)
- 1차원 스프링, 봉요소에서는 생략 가능
3단계. 변형률-변위, 응력-변형률 관계 정의
- 1차원 변형률-변위 관계 예시는 아래와 같음.
$\varepsilon_{x}=\frac{du}{dx}$
- 응력-변형률 관계 예시는 아래와 같음
$\sigma_{x}=E\varepsilon_{x}$
4단계. 요소 강성행렬 방정식 유도
- 아래 세 방법 중 선택
1) 직접 평형법 : 1차원 요소에서 사용
2) 일/에너지 방법 : 2,3차원 요소에 사용. 가상 일 원리, 최소 포텐셜 에너지 원리, 카스틸리아노 법칙이 있음. 최소 포텐셜 에너지 원리는 모든 물체 거동에 적용 가능. 나머지 둘은 탄성체에서만 적용 가능. 최소 포텐셜 에너지 원리가 가장 널리 사용됨.
3) 가중잔여법 : 갤러킨법이 대표적임. 포텔셜 에너지 같은 범함수가 적용되지 않을 경우 사용됨.
5단계. 요소 강성행렬 방정식을 조립하여 전체 행렬 방정식 생성
- 전체 강성행렬 방정식을 생성하고, 경계조건 적용함
6단계. 방정식 풀기
- 각 요소별 변위가 계산됨
7단계. 요소 응력, 변형률 계산
- 6단계에서 계산한 변위를 이용하여 응력과 변형률을 계산
8단계. 결과 해석
반응형
'기계공학 기타과목 > 유한요소해석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한요소법] 5. 강성법 감잡기 (2) 선형 스프링 1개 (0) | 2021.06.04 |
---|---|
[유한요소법] 5. 강성법 (1) 강성행렬 (0) | 2021.06.03 |
[유한요소법] 4. 힘, 변위,강성의 행렬표현 (열행렬, 정방행렬) (0) | 2021.06.03 |
[유한요소법] 3. 요소강성행렬을 정의하는 세가지 방법 (0) | 2021.06.03 |
[유한요소법] 1. 유한요소법이 뭔가요? (0) | 2021.06.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