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료역학/재료역학을 위한 기초 물리

관성모멘트 유도하기 (관성모멘트 등장배경)

by bigpicture 2023. 10. 12.
반응형

관성모멘트는 회전하는 강체의 운동에너지를 구할 때 등장합니다. 어떤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강체가 있다고 합시다. 강체의 각속도를 ωω라고 놓겠습니다. 강체가 여러개의 입자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i번째 입자의 운동에너지를 구해보겠습니다. 

i번째 입자의 속도를 먼저 구해봅시다. 회전축으로 부터 i번째 입자까지의 거리를 riri라고 놓겠습니다. 이때 i번째 입자의 속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vi=riωvi=riω

강체의 운동에너지는 모든 입자의 운동에너지의 합과 같습니다. 강체의 운동에너지를 EKEK라고 놓으면 아래와 같이 계산됩니다. 

EK=Ni=112miv2iEK=Ni=112miv2i

위에서 유도한 입자의 속도와 각속도의 관계식을 대입하면 아래와 같이 변형됩니다. 

EK=Ni=112mir2iω2EK=Ni=112mir2iω2

물체를 무한히 많은 입자로 나누면 아래와 같은 적분형태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EK=12(r2dm)ω2EK=12(r2dm)ω2

위에서 괄호 안의 부분은 직선운동의 운동에너지 수식에서 질량에 해당되는 부분입니다. 이 부분을 관성모멘트라고 부릅니다. 회전운동에서의 질량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기호로는 I로 놓습니다. 

 

I=r2dmI=r2d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