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운동량과 충격량에 대해 공부해봅시다. 운동량과 충격량 공식은 뉴튼의 2법칙에서 유도됩니다. 뉴튼의 2법칙은 아래와 같습니다.
가속도가 상수가 아니라 시간에 대한 함수라고 가정합시다.
이때 가속도 함수 a(t) 는 아래와 같이 변형됩니다.
양변을 t로 적분합시다.
우변의 m은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으므로 밖으로 꺼낼 수 있습니다.
힘은 시간에 대해 변할 수도 있으므로 그냥 두겠습니다. 만약 힘이 시간에 대해 일정하다면 꺼낼 수 있습니다. 우변은 아래와 같이 계산됩니다.
시간 에서의 속도를 , 시간 에서의 속도를 이라고 놓으면 위 식은 아래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
위 식이 운동량-충격량 공식입니다. 가 운동량이고 부르고, F를 t에대해 적분한 물리량이 충격량입니다. 위 식은 어떤 의미일까요? 이항을 통해 아래와 같이 변형하면 의미를 이해하기가 더 쉬워집니다.
어떤 물체가 속도 로 운동하고 있다면 운동량 를 가집니다. 이 물체에 힘 F(t) 가 시간 동안 가해진다면, 물체의 운동량은 가 됩니다.
반응형
'동역학 > 질점의 운동역학 - 충격량과 운동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역학] 운동량과 충격량 (2) 운동량 보존법칙 쉬운 설명 (0) | 2023.04.15 |
---|
댓글